우리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수학식을
프로그래밍의 관점으로 본다면 위와 같이 볼 수 있다.
A, B, C는 값을 입력받는 '변수' 이며
'+'와 같이 ' - , * , % ' 는 '연산자'라 칭한다.
여기서 ' = '은 할당 연산자이며 등호가 아니다.
평소 수학식에서 사용하는 ' = '은 등호로써 "같다" 라는 의미로 쓰이지만
프로그래밍에서는 "값을 주다", "할당하다"의 의미로 사용된다.
변수를 메모리에 기입해보자!
A = 12
"변수 A에 12를 할당"을 표현한다면
위와 같이 메모리 그림을 그릴 수 있다.
0, ,1 2 번지는 이미 할당되어 있고 3번지가
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고 그린 것이다.
3번지 안에 이진수 0000 1100의 값은 12이다.
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8187381
'프로그래밍 언어 >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언어 #include <stdio.h> (0) | 2020.05.13 |
---|---|
C언어 - 이진수 (0) | 2020.05.11 |
C언어 - 비주얼 스튜디오 실행 오류 (1) | 2020.05.05 |
C언어 - 비주얼 스튜디오 설정 (0) | 2020.05.05 |
C언어 -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(0) | 2020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