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497
11497번: 통나무 건너뛰기
남규는 통나무를 세워 놓고 건너뛰기를 좋아한다. 그래서 N개의 통나무를 원형으로 세워 놓고 뛰어놀려고 한다. 남규는 원형으로 인접한 옆 통나무로 건너뛰는데, 이때 각 인접한 통나무의 높이
www.acmicpc.net
문제
남규는 통나무를 세워 놓고 건너뛰기를 좋아한다. 그래서 N개의 통나무를 원형으로 세워 놓고 뛰어놀려고 한다. 남규는 원형으로 인접한 옆 통나무로 건너뛰는데, 이때 각 인접한 통나무의 높이 차가 최소가 되게 하려 한다.
통나무 건너뛰기의 난이도는 인접한 두 통나무 간의 높이의 차의 최댓값으로 결정된다. 높이가 {2, 4, 5, 7, 9}인 통나무들을 세우려 한다고 가정하자. 이를 [2, 9, 7, 4, 5]의 순서로 세웠다면, 가장 첫 통나무와 가장 마지막 통나무 역시 인접해 있다. 즉, 높이가 2인 것과 높이가 5인 것도 서로 인접해 있다. 배열 [2, 9, 7, 4, 5]의 난이도는 |2-9| = 7이다. 우리는 더 나은 배열 [2, 5, 9, 7, 4]를 만들 수 있으며 이 배열의 난이도는 |5-9| = 4이다. 이 배열보다 난이도가 낮은 배열은 만들 수 없으므로 이 배열이 남규가 찾는 답이 된다.
입력
입력은 T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. 첫 줄에 T가 주어진다.
이어지는 각 줄마다 첫 줄에 통나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(5 ≤ N ≤ 10,000), 둘째 줄에 각 통나무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수 Li가 주어진다. (1 ≤ Li ≤ 100,000)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한 줄에 주어진 통나무들로 만들 수 있는 최소 난이도를 출력하시오.
예제 입력
3
7
13 10 12 11 10 11 12
5
2 4 5 7 9
8
6 6 6 6 6 6 6 6
예제 출력
1
4
0
Solution
C++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#define MAX_NUM 10001
int T, N;
int L[MAX_NUM];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 cout.tie(NULL);
cin >> T;
while (T--) {
cin >> N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cin >> L[i];
}
sort(L, L+N);
int level = 0;
for (int i = 0; i < N-2; i++) {
level = max(level, L[i+2] - L[i]);
}
level = max(level, L[N-1] - L[N-2]); // 사실 없어도 됨. 근데 있을 때 더 빠름..
cout << level << '\n';
}
return 0;
}
Python
# ver.1 248ms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T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T):
N = int(input())
L = sorte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cnt = []
for i in range(N-2):
cnt.append(L[i+2] - L[i])
cnt.append(L[-1] - L[-2]) # 사실 없어도 됨. 근데 있을 때 더 빠름..
print(max(cnt))
# ver.2 208ms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T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T):
N = int(input())
L = sorte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level = 0
for i in range(N-2):
if level < L[i+2] - L[i]:
level = L[i+2] - L[i]
if level < L[-1] - L[-2]: # 사실 없어도 됨. 근데 있을 때 더 빠름..
level = L[-1] - L[-2]
print(level)
# ver.3 260ms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T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T):
N = int(input())
L = sorte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level = 0
for i in range(N-2):
level = max(level, L[i+2] - L[i])
level = max(level, L[-1] - L[-2]) # 사실 없어도 됨. 근데 있을 때 더 빠름..
print(level)
'메모장 > 백준 온라인 저지(BOJ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7609번 - 회문 (0) | 2021.12.22 |
---|---|
백준 1697번 - 숨바꼭질 (0) | 2021.12.22 |
백준 4963번 - 섬의 개수 (0) | 2021.12.21 |
백준 1931번 - 회의실 배정 (0) | 2021.12.10 |
백준 1890번 - 점프 (0) | 2021.1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