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램 해석 썸네일형 리스트형 C언어 - 할당 연산자 우리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수학식을 프로그래밍의 관점으로 본다면 위와 같이 볼 수 있다. A, B, C는 값을 입력받는 '변수' 이며 '+'와 같이 ' - , * , % ' 는 '연산자'라 칭한다. 여기서 ' = '은 할당 연산자이며 등호가 아니다. 평소 수학식에서 사용하는 ' = '은 등호로써 "같다" 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"값을 주다", "할당하다"의 의미로 사용된다. 변수를 메모리에 기입해보자! A = 12 "변수 A에 12를 할당"을 표현한다면 위와 같이 메모리 그림을 그릴 수 있다. 0, ,1 2 번지는 이미 할당되어 있고 3번지가 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고 그린 것이다. 3번지 안에 이진수 0000 1100의 값은 12이다. 2진수에 대해서는 다음 게시물을 통해 더 정.. 더보기 이전 1 다음